전동휠 사고가 발생하면 과실 비율은 어떻게 나눠질까요? 보험사 기준으로 보는 전동휠 사고 과실 비율 사례와 책임 범위를 정리했습니다.
전동휠 사고, 과실 비율은 어떻게 나뉠까?
전동휠은 빠르고 기민한 이동수단이지만, 도로에서 보행자, 차량, 자전거 등과 충돌할 경우 사고의 책임 소재가 복잡하게 나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과 충돌하거나, 보행자와 부딪힌 경우 전동휠 사용자에게 높은 과실이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험사에서는 사고 상황을 분석하여 과실 비율을 산정합니다. 하지만 전동휠은 도로교통법상 자전거와도 다르고, 오토바이와도 다른 준교통수단이기 때문에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사용자들이 혼란을 겪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보험사에서 판단하는 전동휠 사고 과실 비율 기준과 대표적인 사례를 소개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조언까지 함께 안내드립니다.
📊 전동휠 사고, 과실 비율은 이렇게 나뉩니다
1️⃣ 보행자와 충돌한 경우
- 🚫 인도(보도)에서 전동휠 주행 중 보행자와 충돌 → 전동휠 100% 과실
- ✅ 자전거도로에서 보행자와 충돌 → 전동휠 60~80% 과실 (경고 미흡 시)
2️⃣ 차량과 충돌한 경우
- 🚦 신호위반 또는 역주행 중 사고 → 전동휠 과실 80~100%
- 🚗 일반 주행 중 우회전 차량과 충돌 → 차량 60% / 전동휠 40% 과실
- 📉 차량이 전동휠을 추월하다 접촉 사고 → 차량 과실 70%, 전동휠 30%
3️⃣ 자전거와 충돌한 경우
- 🛞 같은 자전거도로 주행 중 접촉 → 양측 5:5 또는 상황에 따라 가변
- 🚧 전동휠이 추월 중 접촉 → 전동휠 70%, 자전거 30%
4️⃣ 정차 중 넘어짐 (자기 낙상)
- ⚠ 단독 사고인 경우 보험 보상 어려움
- ✅ PMD 전용보험 가입자일 경우 치료비 일부 지원 가능
🧾